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디렉터 '쎄오' 입니다.
"회식이 일의 연장인가?"라는 질문은 근무 문화와 개인의 관점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는 주제입니다. 회식은 공식적인 업무 시간이 아니지만, 많은 조직에서는 업무의 연장선으로 인식되기도 합니다. 아래는 다양한 관점에서 이를 살펴본 내용입니다.
회식이 일의 연장으로 여겨지는 이유
- 업무 관계 강화
- 회식은 상사와 동료 간의 관계를 강화하고, 업무 중 해결하지 못한 의사소통을 비공식적으로 진행하는 기회로 사용됩니다.
- 많은 기업에서는 회식을 팀워크 향상의 중요한 수단으로 간주합니다.
- 비공식적 업무 논의
- 회식 자리에서 업무와 관련된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이어지며, 업무 협력이 논의될 수 있습니다.
- 중요한 결정을 내리거나 상사의 의견을 듣는 경우도 많습니다.
- 참석의 의무감
- 조직 문화에 따라 참석이 강요되거나 암묵적으로 필수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 불참 시 팀워크 부족으로 간주되거나 부정적인 평가를 받을 우려가 있습니다.
회식을 개인적인 시간으로 여기는 이유
- 근무 시간 외의 활동
- 공식적인 업무 시간이 끝난 후의 활동이므로, 개인적인 시간으로 봐야 한다는 입장이 있습니다.
- 회식 참석은 자율적이어야 하며, 강요되면 안 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 법적 관점
- 회식은 법적으로 근로 시간이 아니기 때문에, 업무의 연장으로 간주되기 어렵습니다.
- 특히,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회식을 업무의 연장으로 보지 않는 사례도 존재합니다.
- 개인 생활 존중
- 근무 외 시간은 개인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하며, 회식 참여를 업무의 연장으로 강요하는 것은 개인의 삶을 침해한다고 보는 관점입니다.
회식의 장단점
장점
- 동료와 친밀감을 형성하고, 조직 내 팀워크 강화.
- 업무 중 쌓인 스트레스를 해소할 기회 제공.
- 비공식적인 대화를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나 협력 방안 도출.
단점
- 개인 시간 침해로 인한 스트레스 유발.
- 음주 문화 강요로 인한 불편함.
- 업무와 무관한 자리에서의 갈등 가능성.
바람직한 회식 문화
- 자율 참여 보장
- 회식 참여는 강요하지 않고 개인의 선택으로 맡겨야 합니다.
- 다양한 활동 제안
- 음주 중심의 회식이 아니라 다양한 활동(영화 관람, 스포츠, 문화 체험 등)으로 대체.
- 시간과 장소 배려
- 근무 시간 내 혹은 근무 종료 직후로 설정하여 개인 시간을 침해하지 않도록 조정.
- 건전한 분위기
- 강요 없는 자유로운 대화와 스트레스 없는 환경 조성.
회식이 일의 연장으로 여겨지는 것은 조직 문화와 개인의 해석에 달려 있습니다. 회사의 회식 문화가 개선될 필요가 있다면, 팀원들과의 소통을 통해 더 건강하고 즐거운 회식 문화를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요즘에는 점심때를 이용해 회식을 한다던지, 영화나 볼링등 여러방면으로 회식을 하는 회사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상. 쎄오의 취업천국 이었습니다.
15년 경력의 HR전문가가 알려주는 이력서부터 면접까지 - 크몽
쎄오김 전문가의 취업·입시 서비스를 만나보세요. <p>1. 서비스 설명</p><p><br><...
kmong.com
728x90
반응형
'취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괄임금제의 함정(?) (2) | 2025.01.13 |
---|---|
포괄임금제란? (2) | 2025.01.13 |
해외주재원 V 국내근무 (3) | 2025.01.13 |
해외주재원과 해외파견이 다르다고? (1) | 2025.01.13 |
해외 주재원으로 지원할 때 알아할 최소 8가지 (1) | 202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