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업

취업 전 꼭 알아야 할 포괄임금제 vs 시간외수당 – 높은 연봉의 함정일까?

by 디렉터 '쎄오' 2025. 2. 14.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취업을 앞둔 분들이라면 한 번쯤 고민하게 되는 "포괄임금제 vs. 시간외수당"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연봉협상 때 들으면 뭔가 있어 보이는데, 막상 근무해보면 "이게 맞나?" 싶은 부분도 많죠.
이 두 가지의 장단점을 제대로 알고 들어가야 나중에 덜 억울합니다!

1. 포괄임금제란?

쉽게 말해, 야근이든 주말출근이든 일단 다 포함해서 월급 줄게! 라는 방식입니다.
회사에서는 "우리 자유로운 문화야!", **"연봉 높게 쳐줄게!"**라고 하는 경우가 많아요.

장점

보이는 연봉이 높아 보임
“오! 이 회사 연봉 괜찮네?” 하고 혹할 수 있습니다.

시간에 덜 구애받는 자유로운 근무 분위기
자율출퇴근제와 결합되면 비교적 유연하게 일할 수도 있어요.


단점

야근해도 추가수당 없음
하루 10시간을 일해도, 주말에 나와도 그냥 원래 월급 그대로입니다.

실제 시급 계산하면 슬퍼짐
"잠깐, 내가 이렇게 일하는데 시급이 최저시급보다 낮다고?"


→ 결과적으로 과로 위험 & 실질적인 급여 하락
처음엔 연봉 높아 보여도, 막상 일하다 보면 "내 노동이 이렇게 헐값이었나?" 하는 자괴감이 들 수 있어요.


---

2. 낮은 연봉이지만 시간외수당 지급 방식은?

기본 연봉은 낮아 보일 수 있지만, 야근, 주말 근무 등 추가로 일한 만큼 돈을 더 줍니다.
소위 ‘칼퇴’가 잘 지켜지는 회사들이 이런 경우가 많아요.

장점

일한 만큼 돈으로 보상받는다
"오늘 2시간 더 했는데, 그만큼 월급에 플러스!"
야근이 많더라도 보상이 붙으니 덜 억울하죠.

근무시간 관리가 잘 되는 편
회사도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 하니까 무작정 야근을 시키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단점

보이는 연봉이 낮아 보일 수 있음
처음 연봉제안 들으면, 포괄임금제 회사보다 적게 보일 수도 있어요.

추가 근무가 없으면 생각보다 적을 수도
"야근수당 기대했는데… 다들 칼퇴해서 생각보다 월급이 적네?"
이렇게 예상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



---

3. 그럼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이것만 기억하세요!

포괄임금제라면, 예상 근무 시간을 회사 분위기에 맞춰 계산해보세요.
야근, 주말출근이 빈번하면 높아 보이는 연봉도 실제로는 낮은 연봉일 수 있습니다.

시간외수당이 있는 회사라면, 기본급이 낮더라도 워라밸이나 실제 시급 면에서 더 나을 수 있습니다.



---

4. 인생은 실전 – 최종 꿀팁

연봉만 보고 덥석 계약서 쓰지 말기!
연봉구성표, 근로계약서 꼼꼼히 확인하세요.
(기본급, 포괄임금제 여부, 시간외수당 등)

면접 때 슬쩍 물어보기
“야근이나 주말 근무는 어느 정도인가요?”
“주변 분들은 추가근무 수당은 어떻게 받으시나요?”

인터넷 후기 참고하되 맹신 금지
사람마다 기준이 다릅니다. 결국 본인의 일 스타일과 가치관에 맞는 곳이 최고예요.



---

여러분은 어떤 선택을 하실 건가요?
높은 연봉의 포괄임금제, 혹은 낮은 연봉이지만 확실한 시간외수당?


이상, '쎄오의 취업천국' 이었습니다.
https://kmong.com/gig/627298

15년 경력의 HR전문가가 알려주는 이력서부터 면접까지 - 크몽

쎄오김 전문가의 취업·입시 서비스를 만나보세요. <p>1. 서비스 설명</p><p><br><...

kmong.com

728x90
반응형